728x90
5월 근로·자녀장려금 신청 총정리! 놓치면 손해, 챙기면 현금
‘가정의 달’ 5월, 마음은 따뜻해지지만 통장은 여전히 쓸쓸하신가요?
그렇다면 지금 바로 주목하세요.
정부가 근로·자녀장려금이라는 이름으로 ‘현금’을 지원해드립니다.
문제는… 몰라서 못 받는 사람이 너무 많다는 것!
지금부터 단 5분, 이 글만 읽어도
내가 받을 수 있는지,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, 어떻게 신청하는지
깔끔하게 정리됩니다.
근로자·자영업자·프리랜서라면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.
📌 근로·자녀장려금이란?
**근로장려금(EITC)**과 **자녀장려금(CTC)**은
저소득 가구의 근로를 장려하고, 양육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입니다.
즉, “당신 열심히 일하셨군요! 아이도 잘 키우고 계시네요!
그러니 정부가 지원금 드립니다.”라는 취지죠.
지원 대상은 다음과 같은 분들입니다:
- 일정 소득 이하의 근로자, 사업자, 종교인
- 1인 가구, 맞벌이, 홑벌이, 다자녀 가구 등 다양하게 가능
- 자녀가 있으면 자녀장려금도 추가 지급
이 지원금은 현금으로 직접 지급되며,
한 번 신청하면 연 1회 지급되니 꼭 챙기셔야 합니다.
📆 2024년 5월 신청 일정은?
- 신청 기간: 2024년 5월 1일(수) ~ 5월 31일(금)
- 정기 신청 대상자에게는 국세청에서 문자나 우편 안내가 갑니다.
- 놓쳤다면? **6월 1일~11월 30일까지 ‘기한 후 신청’**도 가능하지만,
지원금의 10%가 삭감되니 정기 신청이 중요합니다!
🤔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①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
- 2023년 기준 총소득 요건
- 단독 가구: 2,200만원 미만
- 홑벌이 가구: 3,200만원 미만
- 맞벌이 가구: 3,800만원 미만
- 재산 기준: 2023년 6월 1일 기준, 가구 재산 2억원 미만
② 자녀장려금 신청 조건
- 위 소득 요건 충족 +
- 18세 미만(2005.1.1. 이후 출생)의 자녀가 있는 경우
- 혼인 관계, 입양 자녀, 조손가정도 포함 가능
💸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근로장려금 최대 지급액 (2024 기준)
가구 유형최대 지급액
단독 가구 | 150만 원 |
홑벌이 가구 | 260만 원 |
맞벌이 가구 | 300만 원 |
자녀장려금 최대 지급액
- 자녀 1명당 최대 80만 원
- 자녀 수 제한 없음 (2명이라면 최대 160만 원!)
※ 실제 지급 금액은 소득과 재산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.
※ 국세청 홈택스나 손택스 앱에서 ‘모의 계산’ 가능!
📱 신청 방법은?
① 국세청 홈택스 (PC)
- www.hometax.go.kr → 신청/제출 → 장려금 신청 → 로그인 후 신청
- 주민등록번호, 계좌번호 등만 입력하면 끝!
② 손택스 (모바일 앱)
- ‘손택스’ 앱 설치 → 알림 확인 → 터치 몇 번으로 간편 신청 완료
③ ARS 신청
- 안내문을 받았다면 1544-9944로 전화 → 음성 안내에 따라 입력
④ 세무서 방문 신청
- 안내문을 못 받았거나 온라인 사용이 어려운 경우
- 신분증 지참하여 가까운 세무서 방문
📌 꼭 알아두기!
국세청에서 신청 안내를 받지 못한 경우에도 조건에 맞으면 ‘자기신청’ 가능합니다.
조건만 충족된다면 꼭 직접 챙기세요!
❗ 이런 실수는 피하세요!
- 자녀 나이 요건 미확인: 2024년 기준 ‘2005년 1월 1일 이후 출생’만 해당
- 변경된 소득, 재산 기준 놓침: 1년 사이 달라졌다면 신청 자격 달라질 수 있음
- 주소지 기준 세무서 혼동: 이사한 경우 ‘이전 주소지 기준’으로 신청해야 할 수도!
💡 팁! 장려금 수령 후 이렇게 활용해보세요
- 미뤄뒀던 건강검진, 아이의 교육비, 비상금 통장 개설 등
- 당장의 생계비가 아니더라도 ‘미래를 위한 투자’로 활용하는 것이 현명합니다.
- 가능하다면, 일부는 소액 ETF나 적금 등으로 분산해보는 것도 추천!
✍️ 마무리 – 당신의 ‘노력’에 국가가 답하는 순간
근로·자녀장려금은 단순한 혜택이 아닙니다.
묵묵히 일해온 당신에게 정부가 보내는 응원의 메시지입니다.
"수고하셨습니다, 그 노력에 보답합니다."라는 말과 함께
통장에 실질적인 도움이 들어오는 것, 이보다 확실한 지원이 있을까요?
올해는 그냥 지나치지 말고 꼭 신청하세요.
받을 수 있는데 안 받는 것, 그건 손해입니다!
728x90
'경제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김치 프리미엄(Kimchi Premium) 완전 정복: 왜 한국 코인 가격만 더 비쌀까? (3) | 2025.04.23 |
---|---|
경제대공황, 역사는 반복되는가? (6) | 2025.04.01 |
트럼프는 왜 암호화폐에 관심을 가질까? (6) | 2025.04.01 |
🔥“정부가 돈 준다는데, 왜 안 받아요?” (2) | 2025.03.28 |
비트코인, 디지털 금인가? 거품인가?💰 경제학자 티모시의 날카로운 통찰 (3) | 2025.03.26 |